도시계획에서 집단거주지 시설계획 전반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4 07:03본문
Download : 도시계획에서 집단거주지 시설계획 전반 연구_5050922.hwp
토지의 이용방법은 단지규모, 건축형식, 건축밀도와 공공시설 배치상태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나 토지이용을 위한 비율을 정하고 각 용지별 면적을 단지총면적으로 나누어서 용지율을 구한다. 독립주택으로 저밀도의 경우는 금세기초 하워드가 전원도시에서 20~30호/ha, 중층아파트 200~400인/ha, 고층아파트 지구 600~1,000인/ha 정도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아
3. 토지이용비율
단지의 토지는 주택, 녹지, 교통 등에 사용되고 있고 각 단지를 합리적으로 분류하여 능률적이고 유용하게 이용하여야 할 것이다.
토지이용비율의 기준은 단지계획에 있어 토지이용게획을 하는데 주거環境의 쾌적을 위한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아
토지의 이용을 보면 주택지가 점유하는 비율이 가장…(To be continued )
설명
도시계획에서집단거주지시설계획전반연구
Download : 도시계획에서 집단거주지 시설계획 전반 연구_5050922.hwp( 88 )





도시계획에서 집단거주지 시설계획 전반 연구도시계획에서집단거주지시설계획전반연구 , 도시계획에서 집단거주지 시설계획 전반 연구공학기술레포트 ,
다.
,공학기술,레포트
순서
레포트/공학기술
도시계획에서 집단거주지 시설계획 전반 연구
도시계획에서 집단거주지 시설계획 전반 연구
1. 주택의 형태
2. 집단주택지의 밀도
3. 토지이용비율
4. 지대와 가구계획
5. 가로계획
6. 거주環境구역
7. 공동시설
2. 집단주택지의 밀도
주택지의 밀도는 호수밀도, 인구밀도 등이 있으며 Iha당 호수, 인구로 표현하고 있다아 밀도계산에는 총밀도(gross density,단지총면적에 대한)와 순밀도(net density,주택용지에 대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포함되는 요소와 주택지의 규정이 각기 달라서 해석상의 통일이 안 되어 있다아
주택지의 호수밀도는 지가의 고저에 따라 변수가 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