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일본)교과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4 04:04본문
Download : 일본교과서_153703.hwp
왕을 대중 앞에 내세우고 왕가의 혼인을 언론을 통해 국민적 축제로 이벤트 조작을 하고, 왕의 이름으로 외교·문화·학술 등 행사와 의식에서 천황의 자애롭고 평화로우며 고결한 상징과 인격의 품위로 인상을 주입시켜 왔다. 연합국의 민주화 개혁도 가급적이면 형적으로 외견에 그치게 하고 무엇보다 신권 천황제 헌법의 정신을 상징 천황제와 국민 주권제로 고친 것을 어떻게 하든지 형식적인 간판으로 무해한 장식으로 그치게 하면서 천황제를 새로운 변동에 맞추어서 재편해 갔다. 당시 일본은 ‘탈아입구(脫亞入歐)’라 해서 서양 제국주의 추종을 주로 하고 아시아를 면하자는 정책을 밀고 나갔고, 마침내는 아시아 민족에 대한 멸…(생략(省略))
Download : 일본교과서_153703.hwp( 89 )
3. 우익 보수 국수주의자의 천황신권주의
日本(일본)교과서
설명
레포트/사범교육
,사범교육,레포트
日本(일본)의 우익 지배층은 패전 직후의 민주 개혁에 처음부터 불만을 품어 오면서 바로 이 황국사관의 기...






다. 무엇보다 일본의 패전 전의 우익 수구 국수주의 세력이라는 군벌과 재벌, 일부 고등 관료와 상류 명망가 유한층 등은 서민 대중의 주역으로 등장하는 민주 시대에 대해 불안을 느끼고 체질적으로 반발 반대해 왔다.
제 2절 일본우익의 정신적 고향인 황국사관-침략정신의 뿌리
1. 전쟁국가의 정신적 본향으로서 신의 지배
일본의 침략주의-해외 정복주의의 역사(歷史)관의 뿌리는 어디에 있는가? 우선 일본은 근세에 서양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 앞에서 허둥대다가, 19세기 중엽 이래 문호를 개방해서 서양 문물을 수입 모방하여 서양의 제국주의 대열에 끼어들게 되었다. 여기서 그것을 가능케 해 온 황국사관이란 도깨비 망령이 위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었다.
순서
3. 우익 보수 국수주의자의 천황신권주의 일본의 우익 지배층은 패전 직후의 민주 개혁에 처음부터 불만을 품어 오면서 바로 이 황국사관의 기... , 일본교과서사범교육레포트 ,
3. 우익 보수 국수주의자의 천황신권주의
일본의 우익 지배층은 패전 직후의 민주 개혁에 처음부터 불만을 품어 오면서 바로 이 황국사관의 기조를 회복시키려고 끈질기게 노력해 왔던 것이다.
패전 후 일본 지배층이 국민의 민주화의 주체적 역량 함양에 겁을 먹고 경제 제일주의와 내 가정 제일주의로 탈정치화시키는 데 주력을 두면서 우민화로 이끌어 나갔다. 일본은 1894년의 청일 전쟁에서 승리하고 1900년 중국(China) 의화단 봉기 진압에 참여하였다. 결국 일본 지배층이 천황 신권주의에 매달리는 이유는 민주주의를 안 하겠다는 것이었다.